세계로 뻗는 드론 레이싱의 무대
드론을 본격적으로 배운 지 1년 정도 되었을 무렵, 우연히 유튜브에서 ‘DRL 월드 챔피언십’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때 느꼈어요.
“이건 단순한 취미가 아니라, 스포츠다.”
그날 이후 저는 국제 드론대회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지금은 언젠가 나도 한 번 도전해보겠다는 목표를 갖고 연습 중입니다.
오늘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제 드론대회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그리고 참가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소개해드릴게요.
국내와는 또 다른 스케일과 실력을 요구하는 무대, 지금부터 함께 알아보시죠!
✈ 세계 3대 드론대회, 알고 계셨나요?
1️⃣ DRL (Drone Racing League)
세계 최고 권위의 FPV 드론 리그
미국 기반의 프로 리그로, ESPN과 계약된 전문 스포츠 대회입니다.
참가자는 엄청난 속도의 드론을 조종하며, 좁은 실내 코스를 FPV(1인칭 시점)로 주행합니다.
특이하게도, DRL 선수는 실물 드론뿐만 아니라 DRL 시뮬레이터 대회에서 선발되기도 해요.
📌 포인트:
온라인 시뮬레이터 챌린지 → 우승 → DRL 입단
국내 참가자도 진출 가능
시즌마다 팀을 구성해 리그 진행
2️⃣ FAI World Drone Racing Championship
국제항공연맹이 주관하는 정통 월드컵
FAI(국제항공연맹)는 항공스포츠를 총괄하는 국제 기구입니다.
이곳에서 주최하는 드론 레이싱 월드 챔피언십은
정말 ‘국가대표급’ 선수들이 모여 실력을 겨루는 무대입니다.
📌 참가 조건:
각국 협회가 추천한 선수
국내에서는 한국모형항공협회(KAMA)가 선발
국가 단위 출전 & 단체전 포함
개인적으로도 언젠가 FAI 대회에 출전하는 걸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국가대표라는 타이틀은 단순한 명예 이상이죠.
3️⃣ MultiGP Drone Racing
누구나 시작할 수 있는 글로벌 대회 플랫폼
DRL, FAI가 ‘엘리트 무대’라면, MultiGP는 대중적인 진입 플랫폼입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티 기반 대회로,
홈페이지에 등록만 해도 리그 참가가 가능합니다.
📌 장점:
연령, 실력 제한 없음
전 세계 로컬 레이스 커뮤니티 존재
국내 커뮤니티도 연계 가능
저도 올해 목표는 한국에 있는 MultiGP 파트너와 함께 아마추어 리그에 참가해보는 것입니다.
혼자 드론을 날리던 시절과는 비교도 안 되는 동기부여가 생기더라고요.
🛠 국제 대회 참가를 위한 준비 가이드
국제 대회는 단순히 조종 실력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언어, 규정, 장비, 루틴 등 다방면에서 준비가 필요합니다.
✅ STEP 1. 공인 드론 자격증 확보
대부분 국제 대회 참가자는 국가 자격증 또는 드론 협회 인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자격증 1종 이상이 기본이에요.
✅ STEP 2. 시뮬레이터 연습 루틴
국제 대회는 빠른 회전, 좁은 통로, 다양한 코스에서 실력을 요구하므로,
Liftoff, VelociDrone, DRL Simulator 등으로 꾸준히 연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STEP 3. 기체 튜닝 및 규정 숙지
국제 대회는 대부분 대회 공인 기체/배터리 규격이 따로 정해져 있습니다.
현지 반입 가능한 드론, 주파수 설정, 무게 기준을 사전 확인해야 합니다.
📍 경험은 최고의 자산이다
아직 저는 국제 대회에 참가해보진 못했지만,
국내 대회 출전 → 커뮤니티 활동 → 해외 영상 분석 → 온라인 시뮬 참여
이 과정을 통해 성장하고 있습니다.
무대가 크든 작든, 한 번 도전해보면
드론 조종이 단순 취미를 넘어서
경험 자산이 된다는 걸 알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