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북한드론 위협 현실화

by 99drone 2025. 4. 6.
반응형

 

“수풀 사이에서 날아든 그림자”


2024년 여름, GOP 근무 당시, 수풀 사이에서 미세한 진동음이 들렸습니다.
소음의 방향을 따라 망원경을 들이대니, 멀리서 드론 하나가 저고도로 날고 있더군요.
그때 알았습니다. 현대전은 더 이상 총과 포의 싸움만이 아니다.
“공중에서 위협이 온다”는 걸 실제로 경험한 순간이었죠.

최근 언론에서도 화제가 된 북한 특수부대의 위장 전략과 드론 활용 패턴,
그리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첨단 방어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직접 체감한 바,
이번 글에서는 ‘현실화된 드론 전쟁’과 그 대응책을 다뤄보려 합니다.


🧥 북한 특수부대의 위장 전술
북한은 최근 특수작전부대를 중심으로 수풀 위장형 전술복,
방음 코팅된 저소음 드론, 그리고 GPS 교란 전술을 활용해
국경선을 넘는 무인 침투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수풀과 거의 동일한 색상의 전술복

드론을 통한 사전 정찰 및 소형 폭탄 투하

다중 방향에서의 기습 감행

📌 키워드: 북한드론, 위장 전술, 특수부대 침투, 저소음 드론, 드론 위협

이러한 방식은 기존 감시 장비로는 탐지가 쉽지 않다는 점에서 더 무섭습니다.


💣 드론을 활용한 비정형 공격의 양상
북한의 드론은 단순 정찰을 넘어,
수류탄 투하형 소형 드론, 화학·생물학 무기 탑재 가능성,
전자전 기능 장착형 드론 등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2023년, 실제로 북한 소형 드론 5대가 수도권 공역을 침범한 사건도 있었고,
그 중 일부는 레이더에 잡히지 않는 초저공 비행이었습니다.

그들의 기술이 단순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 현대전의 대응법: 어떻게 막을 것인가?
현장 근무를 했던 입장에서 말하자면, 지금 필요한 건 ‘기술적 대응 + 전술적 전환’입니다.

1️⃣ 소형 드론 레이더 감시망 확대
기존 고고도 레이더로는 저공 드론 탐지가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열영상 탐지 장비, 전파탐지센서, 다중센서 감시 시스템 구축이 절실합니다.

2️⃣ 드론킬러(DRONE KILLER) 기술 활용
공중 레이저 요격기, 드론 요격 드론, 전파 교란 총 등
드론을 잡기 위한 드론 무기체계 개발이 활발합니다.

국군도 현재 시범적으로 **‘무인기 대응 중대’**를 창설해 운용 중입니다.

3️⃣ 대응 교범의 현실화
기존 교범은 ‘육안 식별 → 추적 → 발포’지만,
드론은 눈에 보이기도 전에 공격합니다.
이제는 센서 기반 자동 대응 체계가 필수가 됐습니다.


🌍 해외 사례: 이스라엘·우크라이나의 교훈
이스라엘은 이미 아이언돔에 드론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했고,
우크라이나는 드론과 드론이 싸우는 전장을 실전에서 구현 중입니다.

특히 러시아 드론이 자율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추적하고,
우크라이나는 드론 저격총과 포탄 유도형 드론으로 반격하고 있어,
향후 우리 군의 무인 방어 체계 방향성도 이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나의 체감 경험: 바뀐 작전 개념
이전 GOP 근무 때는 망원경과 야시경이 전부였습니다.
지금은 초소마다 드론 감지 시스템을 설치 중이고,
특정 부대는 드론 전담 인력을 별도로 편성하고 있습니다.

그 변화의 중심에서 근무했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도 **드론전 대비 체계는 ‘미래’가 아닌 ‘현재’**라는 걸 확실히 느꼈습니다.

 

 

 

반응형